두치넙치 // 포트번호는 개발용 서버를 구동할 때 뒤에 붙여주는 번호를 뜻합니다.
API 요청하실 때 8888 포트로 접속하고 있는데 실제 서버가 8888 포트로 데이터를 송신받게끔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해보라는 말씀입니다.
다만 포트번호는 정상으로 보이는게 포트번호가 틀리면 애초에 404 가 뜨지 않습니다.
502 bad gateway 같은 오류가 발생하죠.
두치넙치 // 포트번호는 개발용 서버를 구동할 때 뒤에 붙여주는 번호를 뜻합니다.
API 요청하실 때 8888 포트로 접속하고 있는데 실제 서버가 8888 포트로 데이터를 송신받게끔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해보라는 말씀입니다.
다만 포트번호는 정상으로 보이는게 포트번호가 틀리면 애초에 404 가 뜨지 않습니다.
502 bad gateway 같은 오류가 발생하죠.
두치넙치 // 포트번호는 개발용 서버를 구동할 때 뒤에 붙여주는 번호를 뜻합니다.
API 요청하실 때 8888 포트로 접속하고 있는데 실제 서버가 8888 포트로 데이터를 송신받게끔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해보라는 말씀입니다.
다만 포트번호는 정상으로 보이는게 포트번호가 틀리면 애초에 404 가 뜨지 않습니다.
502 bad gateway 같은 오류가 발생하죠.
스프링은 저도 문외한이지만... 스프링부트를 사용하셨을 경우 /api 를 path 앞에 붙여아 하는걸로 압니다
http://localhost:8888/api/saveUser 로 한번 해보세요
잘못 알고 있었습니다. 무시해주세요
두치넙치 // 포트번호는 개발용 서버를 구동할 때 뒤에 붙여주는 번호를 뜻합니다.
API 요청하실 때 8888 포트로 접속하고 있는데 실제 서버가 8888 포트로 데이터를 송신받게끔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해보라는 말씀입니다.
다만 포트번호는 정상으로 보이는게 포트번호가 틀리면 애초에 404 가 뜨지 않습니다.
502 bad gateway 같은 오류가 발생하죠.
스프링은 저도 문외한이지만... 스프링부트를 사용하셨을 경우 /api 를 path 앞에 붙여아 하는걸로 압니다
http://localhost:8888/api/saveUser 로 한번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