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가 40이 되면 이쯤부터 개발 경력 기간에 비례해서 코딩 능력이 로그함수로 수렴 합니다.
코딩 능력 (정확히 구현 능력), 구현 속도(코딩 속도)은 더 이상 늘지 않지요. 다만, 안정성은 늘어 납니다.
보통 코드 사이즈가 커지거나 구현량이 증가하면 안정도는 불안해지지요.
그런데, 연봉은 늘어 납니다.(회사가 더 줄 수 있는 능력이 되어야)
이때부터, 회사는 더 많은 것을 요구 합니다. 경험이 많기 때문에 고객과의 접점도 늘어 납니다. 고객과의 관계 유지도 맡게 됩니다.
여기서 개발자의 전환이 요구 됩니다. 계속 개발을 할 것인가 ? 관리자로 전향을 할 것인가 ?
개발도 하고 관리도 하고 다하면 좋겠지만 그게 쉽지 않지요. 코딩중 문제에 직면하게 되면 관리에 구멍이 납니다.
게다가 많은 개발자들이 코딩보다 사람 상대에 힘들어 합니다.
40이 넘어서 은퇴하는 이유는 개발자 문제보다 회사의 요구 때문 입니다.
40이 넘고 50이 넘어도 개발을 하는 문화가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