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32살 시작이 늦지 않을까요?
어떤 루트로 준비하실 계획인지는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케이스대로 6개월 국비학원 수료 후 취업활동을 하신다는 가정하에 말씀드리자면, 지금 당장 들어가도 올해 하반기에나 수료를 하게 될 것이고, 수료 직후 취업이 안된다면 두세달 가량 구직활동을 하게 되실테니 취업에 성공을 해도 33세에 입사를 하게 될 가능성이 가장 높아보입니다.
30세가 넘어서 개발자 신입으로 입사하는 케이스는 적지 않습니다만 그래도 33살이면 신입으로서는 많은 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느 분야나 다 그렇듯이, 신입 채용의 경우 같은 조건과 비슷한 실력이라면 나이 많은 사람보다는 어린 지원자 선호하는 것은 개발 분야도 마찬가지입니다.
가능하냐 불가능하냐(이 질문에는 저는 '가능은 하다'라고 답하겠습니다)가 중요한게 아니라, 나이가 많아진다면 신입 입장에서는 전체적인 구직 성공 확률이 낮아지는 와중에도 좋은 직장을 구할 선택지는 더 줄어듭니다. 당연히 질이 낮은 회사로 들어가게 될 확률은 상대적으로 높아지겠죠. 현실을 감내할 준비가 되었는지가 어찌보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2. 개발 언어는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파이썬은 초보자가 쉽게 입문하기에 좋은 언어지만, 비전공자가 신입으로 취업을 하기 위해, 그것도 웹개발을 목표로 하는 입장에서는 깊게 파고들기에 좋은 언어는 아닙니다.
자바의 경우 특히 한국에서 웹 개발에서 가장 많이 쓰이기때문에 대부분의 비전공자들이 자바를 통해 입문을 하고 있으며, 학원들도 웹개발 과정은 대부분 자바로 가르칩니다. 기업의 채용 수요가 많기 때문이죠. 파이썬도 웹개발은 가능하고, 파이썬 웹개발자를 채용하는 기업도 어느 정도는 있지만 그 수가 자바와 비교할 수준은 못됩니다.
웹개발자가 목표라면 자바를 추천드리겠습니다. 다만 유념하셔야 할 건 수요가 많은 만큼 공급도 많다는 겁니다. 기회는 많지만 경쟁자도 많다는 거죠. 그들과 경쟁해서 얼마나 좋은 기회를 얻느냐는 개인에게 달려있습니다.
3. 프리랜서는 언제부터 시작할수 있을까요?
프리랜서 활동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서 자세히 말씀은 못드리겠습니다만, 제가 본 프리랜서분들은 대략 최소 3-4년 경력은 쌓은 후에 프리로 전환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기업에서 프리렌서를 쓰는 이유는 교육이나 준비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생략하거나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프로젝트에 바로 투입시키기 위함인데, 업무에 바로 투입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말 천재적인 수준이 아니고서야 1년도 안되는 경력으로는 택도 없습니다. 최소 2년 경력 이후부터 생각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4. A.I 발전해도 웹개발자는 계속해서 일을 하실수 있으실거라고 보시나요?
사람들마다 여러가지 의견이 있어서 뭐라고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 ai에 의해 웹개발 일자리가 줄어들 수도 있다는 얘기는 있습니다만 실무 상황에서는 아직까지는 피부에 와닿는 위협은 느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it 업계가 그렇듯이 몇년 전과 지금이 다르고, 5년뒤 10년뒤가 또 다를 것이기 때문에 나중에는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ai에 의해 미래에 일자리가 위협받는 것이 두려우시다면 개발 업계에 진입하지 말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실제로 ai가 웹개발까지 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도 많으니 기계에 의해 웹개발자들이 일자리를 잃어버리게 되는 미래도 배제할 수는 없으니까요. 'ai 시대에도 개발자들은 살아남을 것이다'라는 낙관론적 견해도 있다고 말씀드리는 것만으로는 ai전문가도 아닌 저로서는 미래의 웹개발자에 대한 불안감을 완전히 제거해드릴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