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라인 nhn 모두 코딩테스트를 실시합니다. 네이버는 이번 공채를 해봐야 정확하게 알겠지만 비슷할꺼라 생각합니다.
카카오의 경우 알고리즘으로 1차 온라인, 2차 오프라인 시험을 보며 2차는 일반적인 알고리즘 문제라기 보다는 어떠한 상황에 대한 쿼리를 받아 최선의 방법으로 해결하는 문제가 나옵니다. (작년 2차 오프라인 테스트 검색하면 나옵니다)
라인의 경우 작년 공채에서는 1차 온라인에서 알고리즘과 cs지식을 동시에 봤으며, 2차 오프라인에서도 마찬가지로 봤습니다. 이번년도 주3일 인턴 공채에서는 1차 온라인으로 알고리즘 2차 오프라인으로 cs지식 필기 봤습니다.
면접에서는 cs전반적인 지식과 포트폴리오쪽으로 질문 받았습니다.
nhn의 경우에는 1차 온라인으로 알고리즘, 2차 오프라인으로 cs지식 필기 시험을 봅니다.
면접을 하루종일 보게 되는데 알고리즘 테스트도 보며 면접에서도 알고리즘쪽으로 질문 받았습니다.
it기업 공채라면 알고리즘과 cs지식을 집중적으로 보며 적당한 기술스택을 익히시면 되고
수시채용을 노리신다면 기술스택을 좀더 깊게 보셔야 합니다.
기술스택을 보실때에는 프레임워크를 활용할줄 아냐수준이 아닌 해당 프레임 워크의 코어부분은 어떤식으로 이루어졌는지와 해당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