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3에서 제일 기다렸던 기능중 하나인
WSL distros를 Windows에서 다이렉트로 액세스 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Visual Studio 2019 16.1 버전도 릴리즈 되었습니다.
이 버전에서는 cmake project에 대해 wsl을 네이티브로 빌드 할 수 있도록 하는 옵션이 생겼습니다.
즉, 기존에는 SSH를 거쳐서 프로젝트를 타겟 시스템에 복사하고 빌드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WSL을 네이티브로 쓰니 복사하는 과정 자체가 없어져서 전체적인 UX가 향상되었네요 ㅎㅎ
(지금 실제 프로젝트에서 사용해보니 빌드 외에도 이외에도 인텔리센스가 굉장히 클린하게 작동합니다.)
마소 사랑합니다. 이제 리눅스 개발은 그나마 맥이다라는 편견이 없어지겠네요
그렇다고 맥 까는건 아닙니다... 전 맥 윈도우 리눅스 다 사용하는 유저입니다 ㅠㅠ
이제 마소에서 준비중인 WSL 2버전까지 나온다면 정말 완벽한 리눅스 개발 환경이 탄생 할 것 같네요
현재 문제는 WSL에서 native docker를 사용하지 못하는데 2버전에서는 하이퍼바이저에 올려서
네이티브 리눅스를 그대로 쓸수있다고 하니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