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표주제
은행/사이버보안/선거관리/웹호스팅/도매,소매공급망/엔터네이먼트등 블록체인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수많은 산업에 영향을 미칠 엄청난 미래 기술이 될 것이다라는 다소 과장됬을지도 모르는 글들이 쏟아져 나오는 현재 있어서, 우리 개발자들은 어떻게 보면 복받았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엄청난 기술에 대해서 일반인들 처럼 가쉽성 기사들만 읽고 지나가는게 아니라, 그 실체 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한 호기심을 비교적 쉽게 풀 수 있기 때문인데요. 세상이 바뀌는 것에 함께 한다는 것은 꽤 멋진 일인거 같습니다.
그리고 블록체인(코어)을 공부하는 것은 우리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겐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져오는데요. 블록체인 자체를 알게 되는 것과 동시에, 개발자로써의 내공을 쌓는 하나의 교육 과정이 될 수 도 있습니다. 오픈소스 리딩과 함께 여러 알고리즘을 공부하게 되니까요.여러분의 실무에 써먹을수도 있는 그런 기술일지도 모릅니다.
블록체인에 대해서 짧게 소개하자면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블록이라는 개념으로 연결지어 분산 노드를 통해서 관리되고 서로 통신하며, 해당 노드는 누구나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누구나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데이터를 어떻게 신뢰 할 수 있을까? 그것에 대한 해답으로 나온 기술로써, 이 블록체인(비트코인,이더리움)이라는 거대한 아이디어의 기반이 되는 다양한 요소 기술들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며 마지막으로는 전체에 대한 조망을 하면서 마무리 짓겠습니다.
블럭체인(비트코인) 인사이드
발표 순서
- 책 소개 (마스터링 비트코인, 마스터링 이더리움)
- 신뢰란 무엇인가
- 분산컴퓨팅
- 비잔틴 장군 문제
-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 블록체인 세대별 기술
- 대칭키/공개키 암호화/서명이란
- 해시
- 가쉽 네트워킹 및 비트코인 네트워크
- 분산 데이터베이스
- 주소 만들기- 머클트리
- 블룸필터
- 스크립트
- 거래검증
- 거래생성
- 채굴 및 작업증명
- 블록생성
- 블록검증
- 블록선택 및 전파
- 전체 조망 <-- 이번 세미나는 여기까지
이더리움 코어 및 분산 네트워킹 기술
- 영지식 증명
- 작업증명(PoW, Proof-of-work)과 지분증명(PoS, Proof-of-stake) 그리고 BFT
- state,balance,accounts vs UTXO
- RLP
- 이더리움 머클 패트리샤 트리
-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
- 이더리움 스크립트
- 이더리움 네트워킹
ㅁ TCP/UDP/NAT/홀펀칭/UPnP
ㅁ Kademlia (Consistent Hashing & DHT)
ㅁ Filecoin ( IPFS)
ㅁ RLPx/devP2P
- 이더리움 스웜
- 이더리움 플라즈마
- 이더리움 샤딩
- 이더리움 위스퍼
- Raiden 네트워크 토큰
- 등등
출처: http://hamait.tistory.com/951 [HAMA 블로그]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