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문득 의문이 들었습니다.
부수효과가 없는 순수함수 <- 이 파트에서 생긴 의문입니다.
함수 내부에 console.log 함수를 입력해서 값을 출력하면 부수효과가 생기므로
return으로 값만 넘기고 넘긴 값으로 출력하면 부수효과가 없다는 설명이었습니다.
이 파트에서 return은 무엇이길래 부수효과가 없다는 것이지?
이 의문이 들었습니다.
return 키워드의 기능은 무엇일까?
자바면 메소드를 호출한 클래스의 필드에 계산값을 담은 변수를 추가하는 건가?
자바스크립트라면 해당 함수가 참조하고 있는 객체에 프로퍼티를 생성한다는 것일까?
아니면 외부 함수에 계산값을 담은 보이지 않는 변수를 추가한다는 것일까?
이것저것 찾아봐도 뭔가 시원하게 답이 안 나와서 글을 올려봅니다...!!